녹내장 약 복용 중 조심해야 할 약물들


녹내장 환자가 피해야 하는 약은 주로 눈의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약들입니다.

 

안경을 쓴 노인 여성




🔴 1. 항콜린성 약물 (안압 상승 유발 가능)

특히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게는 매우 위험할 수 있음.
• 항히스타민제
• 예: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 (감기약, 알러지약, 멀미약에 흔히 포함)
• 항우울제, 항불안제 일부
• 삼환계 항우울제(TCA): 아미트립틸린, 이미프라민 등
• 벤조디아제핀계도 일부 영향 가능 (예: 디아제팜)
• 진경제(경련 억제 약)
• 부스코판(히오신) 등
• 항파킨슨약, 항정신병약
• 벤즈트로핀, 클로르프로마진 등
• 소염진통제 중 일부
•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은 드물게 영향을 줄 수 있음
→ 개방각 녹내장에는 대부분 안전하나, 폐쇄각일 경우 주의 필요



🔴 2. 전신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시 위험)
• 경구용 스테로이드: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
→ 장기복용 시 안압 상승 유발 가능성 있음
→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경우 특히 조심



⚠️ 3. 감기약/멀미약/코감기약

이 약들은 항콜린 작용 + 혈관수축제(슈도에페드린 등)가 같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아 안압 상승 위험 있음.
• 대표 제품 예: 타이레놀 콜드, 판콜에스, 페니라민 복합 감기약 등
• 녹내장 환자는 반드시 약사나 의사에게 복용 전 알릴 것



🟡 4. 카페인, 에페드린, 고용량 비타민 D 등
• 고카페인 음료 과다 섭취 시 안압 상승 가능성 있음
• 일부 건강기능식품(에너지 보충제 등)은 교감신경 항진 성분 포함 가능



💊 그럼 녹내장약이랑 같이 먹어도 괜찮은 약은?
• 일반적인 진통제(타이레놀 등): 대체로 안전
• 항생제, 위장약, 고혈압약: 안전한 경우가 대부분
• 안과에서 처방하는 베타차단제계 안약, 프로스타글란딘제제 등과 병용 시 약물상호작용은 드뭄



🧾 녹내장 환자가 약 복용 시 꼭 확인해야 할 점
1. 자기 녹내장이 ‘폐쇄각형’인지 ‘개방각형’인지 파악해두기
→ 폐쇄각형은 약물 금기가 훨씬 많음
2. 감기약, 알러지약, 수면제 복용 전 반드시 약사에게 녹내장 있다고 알리기
3. 안약뿐 아니라 전신약과도 상호작용 확인 필요
→ 특히 정신과 약, 감기약, 멀미약 주의
4. 정기적인 안압 체크 및 안과 진료 중요



✅ 마무리 요약

피해야 할 약 이유
항히스타민제, 감기약, 진경제 안압 상승 위험
삼환계 항우울제, 일부 정신과약 항콜린작용으로 폐쇄각 유발 가능성
스테로이드(경구, 흡입 등) 장기 사용 시 안압 증가 가능성
에페드린, 카페인 과다 교감신경 항진 → 안압 상승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