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이 변비를 유발할까?💩
당뇨병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이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혈당 조절을 위해 먹는 당뇨약이 오히려 변비와 같은 소화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걱정이 되실 수 있죠. 실제로 어떤 약이 변비를 잘 일으키는지, 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지 약물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메트포르민(Metformin)
가장 널리 쓰이는 1차 치료제입니다.
흔히 설사, 속쓰림, 복부 불편감이 보고되며, 변비는 흔하지 않은 부작용입니다.
다만 사람마다 장운동 변화가 다르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변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체로 수주 이상 복용하면 위장 부작용이 점차 줄어드는 편입니다.
⸻
2. 설폰요소제 (글리메피리드, 글리클라지드 등)
저혈당이나 체중 증가가 대표적인 단점이지만,
소화기 부작용은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변비와의 관련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 리나글립틴 등)
최근 많이 사용되는 약물군으로 부작용이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 변비나 소화불량이 보고되기도 합니다.
흔한 증상은 아니지만, 약을 바꾼 후 변비가 생겼다면 이 계열 약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4. SGLT2 억제제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등)
혈당을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기전의 약입니다.
부작용은 소변량 증가, 요로감염, 탈수 등이 대표적입니다.
직접적으로 변비를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지만, 수분 손실로 인해 대변이 딱딱해져 변비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
5. GLP-1 작용제 (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세마글루타이드 등 주사제)
최근 비만 치료와 혈당 조절에서 주목받는 약물군입니다.
그러나 위장관 운동을 늦춰 포만감을 유지하는 기전 때문에 변비, 메스꺼움, 복부팽만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실제로 변비가 심해서 약을 중단하거나 변비약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뇨약 중에서는 변비를 가장 잘 일으키는 계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아카보즈, 보글리보즈 등)
음식물의 탄수화물 흡수를 늦추는 약입니다. 부작용으로는 방귀, 설사, 복부팽만이 많고 변비는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장내 가스 때문에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리
• 변비 잘 생기는 약: GLP-1 작용제(주사제 계열)
• 간혹 변비 있을 수 있는 약: DPP-4 억제제, 일부 메트포르민
• 변비보다는 설사가 흔한 약: 메트포르민, 아카보즈
• 거의 변비와 무관: 설폰요소제, SGLT2 억제제(단, 탈수로 인한 변비 가능)
⸻
변비 예방 및 대처 방법
1. 충분한 수분 섭취 : SGLT2 억제제를 복용 중이라면 특히 수분 보충이 중요합니다.
2. 식이섬유 섭취 : 채소, 과일, 현미, 귀리 같은 식이섬유를 꾸준히 섭취하면 장운동이 활발해집니다.
3. 규칙적인 운동 : 걷기, 가벼운 스트레칭만으로도 장 운동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4. 약제 조정 : 변비가 너무 심하다면 복용 중인 당뇨약 성분을 확인하고, 의사와 상의해 약을 변경하거나 변비약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당뇨약은 혈당 조절에 꼭 필요하지만, 일부 약은 위장관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특히 GLP-1 주사제는 변비가 흔한 부작용이므로 증상이 지속되면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면 메트포르민이나 아카보즈는 변비보다는 설사가 더 많은 편이죠.
따라서 “어떤 약을 먹고 있느냐”에 따라 변비 발생 가능성이 달라지며,
생활습관 관리와 함께 담당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조정하면 불편을 줄일 수 있습니다.
'Pharmarcy >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주차별 감기약(+성분) 안전성 정리! (0) | 2025.09.21 |
---|---|
당뇨·고혈압·고지혈증 약물,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정리 (0) | 2025.09.09 |
스틸녹스(졸피뎀), 장기 복용해도 괜찮을까? 의존성과 중단 방법 정리 (0) | 2025.09.07 |
자세틴(주로 세르트랄린 성분), 알프람(알프라졸람 성분), 부스포론(부스피론 성분)비교 (0) | 2025.09.06 |
음식과 상충되는 약, 꼭 알아두어야 할 기본 상식 (0) | 2025.09.03 |